22일 서울 중구에서 청년·대학생 협의체들이 모여 조기대선청년공약촉구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일자리·창업·주거·금융·법률·지방문제 등 7개핵심분야에서의 청년들의 고충을 토로하고 조기대선후보자들에게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공약 마련을 촉구했다.
김도은한양대52대총학생회비상대책위원장은 <청년의 삶은 이제 버텨내야 할 무게가 되었고 그 무게는 점점더 커지고 있다.>면서 <청년이 변화의 대상이 아닌 변화의 주체로 함께할수 있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조영학가천대40대총학생회장및전총협경기권역장은 <스펙1줄에 목을 매는 취업현실이다. 스펙이나 실무경험 부족, 절대적인 일자리감소, 중소기업을 외면하게 만드는 비교문화 등이 청년일자리문제의 원인>이라면서 이에 요구되는 청년실업문제해소정책들을 제시했다.
김태헌광운대50대총학생회비상대책위원장은 열악한 주거환경과 비싼 보증금 등 청년주거문제들을 열거하고 <지원도 줄고 기금도 줄고 보장도 줄었는데 그 부담은 고스란히 청년세입자에게 전가되는 구조만 남았다.>면서 이에 따르는 해결책들을 내놨다.
황동현국립부경대26대총학생회장및전총협부산경남권역장은 서울 전·월세 값이 지방의 약2배에 육박>하며, <수도권인구집중은 대학서열화, 일자리집중, 부동산가격상승, 물가상승, 저출산, 노동인구감소라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킨다.>면서 정책상 지역균형발전을 강조했다.
백종석한밭대40대총학생회장및전총협충청권역장은 <이번 대선에서는 세대 간 단절, 남녀 간 갈등, 일상속 혐오와 배제의 문제를 정치(계)가 책임있게 다뤄야 한다>고 역설했다.
최종규충남대53대총학생회장은 <청년정책이 실패하는 근본이유는 정책설계과정에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이날 제기된 문제들을 묶어 정계에 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발족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