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대학뉴스는 육군28사단에서 선임병들의 폭행으로 사망한 뒤 군이 조직적으로 은폐한 윤일병구타사망사건을 계기로 윤일병사건으로 보는 군대라는 주제의 다음과 같은 기획기사를 연재한다.


① 윤일병, 청년들의 참담한 자화상

② 군대내 폭력·성추행, 정말 심각하다 - <가짜사나이>와 피로 물든 <붉은거탑>

③ 징병제 과연 문제없는가

④ 립서비스로 끝나는 이른바 <대책들>



<윤일병구타사망사건>으로 인한 군대생활의 불안감증폭

 

최근 <윤일병구타사망사건>으로 남코리아의 군대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한달간의 상습적폭행·성추행으로 사망한 윤일병은 우리의 아들·형·동생과 다르지 않다는데에 부모들은 <내 자식을 군대에 보낼 수 없다>고 국방부홈페이지에 항의글을 올리기도 했다. 또 <윤일병구타사망사건>이후 육군의 한달간 가혹행위를 조사했는데 4000건이 집계됐다고 한다. 뿐만아니라 지난 6월에 있었던 <임병장총기난사사건> 이후 YTN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군필자 52.4%가 <군대내 폭력 ·차별 심각하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의료복지, 성소수자인권문제도 심각해

 

지난 2월, <머리에 이상이 있는데 두통약만 처방받다 뒤늦게 뇌종양판정을 받은 김상병사건>이나 <당뇨를 앓던 훈련병이 부실한 치료로 목숨을 잃는 사건>으로 군대내 의료복지에 대한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다. 또 한 병사의 커밍아웃으로 인해 <성정체성확인작업>이 부대내에 진행되기도 했다고 한다. 2004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군대내 성폭력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15%가 <성폭력피해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인권유린의 군대

 

지난 2000년대초, 국군수도통합병원에서는 군인1000여명의 정액을 채취하는 일이 벌어졌다. 당시 이사건을 밝힌 국회보건복지위소속 김선미의원은 <지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식품약품안전청은 <전국남성정자수 및 비뇨기계질환조사연구소 사업>을 진행하면서 국군수도통합병원에서 매해 200명씩 군인1000여명을 상대로 정액을 채취해 모니터링했다>고 밝혔다. 그때 국방부는 이사건에 대해 <국방부와는 관련 없는 일>이라고 발뺌했다.

 

또 지난 2008년 국방부는 <대한민국史>, <나쁜 사마리아인들>, <지상에 숟가락 하나>,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등 특정도서를 <친북, 반정부·반미주의, 반자본주의 내용을 담았다>는 이유로 병영내 반입을 차단했다. 오동석아주대법대교수는 <누구나 사유의 자유가 있고 정보에 접근할 권리가 있다>며 <시중에 유통되는 책을 군대내에 반입금지하는 조치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입대거부·양심적병역거부, <차라리 감옥에 가겠다>

 

수감생활을 감수하고서라도 병역을 거부하겠다는 국내양심적병역거부자들이 전세계양심적병역거부자들의 92.5%를 차지했다고 지난해 유엔인권이사회는 발표했다.

 

<입대거부>여론도 들끓고 있다. 입대예정자와 그부모들은 <입대하기 전부터 위축되고 매우 두렵다. 이런 사건들의 타깃이 내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불안함이 커져간다>고 말하며 인터넷에선 <입대거부서명운동>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징병제폐지>로 가는 세계여러국가들

 

김삼석군사평론가는 지난 2001년 한 신문기고에서 <대한민국 징병제는 다른나라 징병제와는 차원이 다르다. 50년이상 동족을 주적으로 하는 특수한 처지의 분단된 나라의 징병제다. 분단현실을 그대로 나타내는 기형적인 징병제로 운영되는 한국군대의 출발점은 첫단추부터 잘못 맞추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유럽의 징병제실시국가 중 영국은 1963년에, 프랑스는 2001년, 폴란드는 2008년에 징병제를 폐지했고 최근 스웨덴도 2010년에, 독일은 2011년에 징병제를 폐지했다. 병무청에 따르면 <지원병제실시국가>는 현재 120여개국으로 <징병제실시국가>보다 2배가량 큰 수치다.

 

한편 2015년 지원병제 전면전환을 앞두고 있는 대만에서 병사가 열사병으로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이에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여론이 확산됐고 국방부장관이 해임됐다.


0805 지원병제국가.jpg

▲ 자료 병무청 (괄호안 숫자는 전환년도) *북은 확실치않음


21세기대학뉴스



번호 제목 날짜
345 대학생들, 민영현강사 부당해고 철회하고 ˂동일노동-동일임금>원칙 적용하라! file 2014.11.26
344 E.H.카˂역사란 무엇인가˃읽은 대학생, 32년만에 무죄판결 file 2014.11.25
343 KBS언론노조, 공영방송 독립성 보장하라! file 2014.11.21
342 CBS노조위원장 선거, 최초 경선 file 2014.11.21
341 한국외대 영어대학생들, 총장실 밑에서 침묵시위 진행해 file 2014.11.17
340 충북대총학생회, 기성회비반환소송에 합류하나 file 2014.11.14
339 영화인들, ˂다이빙벨˃멀티플렉스영화관 불공정행위 규탄한다! file 2014.11.14
338 ˂경쟁없이 배우고 싶습니다˃ 수능일에 수능거부학생 file 2014.11.13
337 세월호참사 210일째, 실종자가족들 수색중단결정 file 2014.11.13
336 한대련, 세월호참사 대학생농성단 함께하자! 기자회견 진행 file 2014.11.11
335 교육단체들, 무상보육·무상급식 파탄위기 대통령이 나서라! 촉구기자회견 file 2014.11.07
334 세월호유가족들, 76일간의 청운동농성 끝맺어 file 2014.11.05
333 세월호침묵행진 제안한 경희대 용혜인씨, 불구속기소 file 2014.11.05
332 한대련 장민규의장, 광화문농성 4일째 file 2014.11.04
331 청주대˂수업거부 찬반투표˃ 77.6% 찬성, 행동돌입 file 2014.11.04
330 세월호참사 200일, 성역없는 진상조사 철저히하라! file 2014.11.02
329 ˂비(悲)정규직 노동인권영화제˃ 개최 file 2014.10.28
328 민교협, 삼성은 직업병 문제를 진정성을 가지고 교섭에 임하라! file 2014.10.24
327 영화˂카트˃ 김영애, 많은 분들 봐야할 영화라 출연결심...다음달 개봉 file 2014.10.22
326 세월호참사 국민대책위 진상규명 위한 '416 약속지킴이'제안 file 2014.10.21
325 한신대 시국선언, ˂세월호특별법 제정해 안전사회 구현하라!˃ file 2014.09.29
324 세월호참사 이전과 다른 사회를 위해! 연대서 대학생들 간담회진행 file 2014.09.26
323 의무경찰 급식은 미국산, 경찰대학생은 호주산? file 2014.09.25
322 공주대˂나비랑˃총여학생회, ˂희망나비˃ 일본군˂위안부˃문제로 연대서명운동별여 file 2014.09.19
321 호주 중학생, ˂세월˃호주제 시로 문학상 수상 file 2014.09.17
320 경기대학교 구성원들, ˂비리로 얼룩진 옛 재단 복귀를 반대한다!˃ file 2014.09.16
319 부산지역 대학생, 교수들 ˂세월호특별법제정˃행진시작 file 2014.09.15
318 시민, 대학생, 교수, 교사 촛불문화제 ˂국민과 함께 촛불을!˃ file 2014.09.13
317 한신대학생들 ˂진상규명 될 때까지 유가족과 함께하겠다˃ file 2014.09.06
316 3일, 광화문광장으로! 대학생, 동문, 교수 함께 대행진 file 2014.09.04
315 3일, 세월호가족 농성13일차 기자회견 진행 file 2014.09.04
314 개강시즌 대학생들, 세월호특별법제정위해 수업반납하겠다 file 2014.09.01
313 30일, ˂청와대는 응답하라!˃ 특별법제정촉구국민대회 file 2014.09.01
312 일본군˂위안부˃헌재판결 3주년 맞이 기자회견 청와대서 열려 file 2014.08.29
311 미 대학생, ˂유민아빠˃에게 연대의 편지 보내 file 2014.08.29
310 제1141차 수요시위, ˂정부는 즉각 헌재판결을 이행하라!˃ file 2014.08.27
309 대학생들, ˂한민구국방부장관은 전쟁을 재촉하는 망언 중단하라!˃ file 2014.08.27
308 대학생들, <유민아빠와 함께하겠다> 동조단식선포해 file 2014.08.19
307 〈유민아빠를 살리자!〉 운동 확산 ... 김영오씨 단식 36일차 file 2014.08.18
306 한국외대, 〈친일행적〉 설립자 동상설치 강행 file 2014.08.18
305 [현장사진] 〈청와대를 향한 10만의 함성〉 file 2014.08.18
304 14일 세계일본군〈위안부〉기림일 문화제 열려 file 2014.08.17
303 22~23일 〈세월호참사를 기억하는〉기자학교 열려 file 2014.08.15
302 전쟁위험 커지면 청년들 불안도 커진다 file 2014.08.14
301 모병제 필요성여론 확산돼 file 2014.08.13
300 교육시민단체 〈반교육적 낡은 인사 황우여후보자 사퇴하라〉 file 2014.08.10
299 한신대학생들, 박영선대표사무실 점거농성 file 2014.08.09
298 [기획] ④ 립서비스로 끝나는 이른바 〈대책들〉 file 2014.08.06
» [기획] ③ 징병제 과연 문제없는가 file 2014.08.06
296 [기획] ② 군대내 폭력·성추행, 정말 심각하다 -〈가짜사나이〉와 피로 물든 〈붉은거탑〉 file 201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