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일간지 쥐트도이체 차이퉁은 24일 '독일에서 가장 확실한 연금보험은 대학졸업장'이라고 보도했다.
독일 고등교육연구소(HIS)에서 2001년 졸업자 5000명에 대한 추적조사결과 졸업한지 12년이 지난 이들의 실업률은 1%에 불과했다. 추적조사 대상자 10명중 9명은 현직에 있고, 취업하지 않은 대부분은 전업주부나 전업남편 또는 공부를 계속하는 경우였다.
특히, 이들의 41%는 이미 진출분야에서 지도자로 자리매김했다. 3/4이 무기한 고용계약을 체결했고, 15%는 자기사업을 이끌고 있었다. 정규직의 경우 평균연봉이 6만3000유로(한화 9300만원)에 달했다.
직업만족도 역시 높았다. 85%가 현재의 직업에 만족했고, 75%가 현재위치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물론 그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공별로 실업률의 비율이 다르며, 심리학졸업자는 20%가 정규직일자리를 얻지 못했다. 졸업초기에는 직업안정성이 다소 떨어져 졸업시험 1개월후 실업률은 12%였다.
그러나 1년후 이들의 실업률은 2%로 떨어졌다.
조사를 이끈 콜야 브리디스는 "간헐적인 경제위기에도 대학졸업자들에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회가 매우 좋은 편"이라고 말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그 이유는 독일의 대학교육과 사회시스템이 함께 맞물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등록금이 무상에 가깝지만 독일의 대학진학률은 50%를 크게 넘지 않는다. 대학을 졸업하지 않아도 아우스빌둥(직업교육)과정을 거쳐 전문성을 인정받으므로 임금 등의 차별이 없는 사회분위기 덕이다. 더구나 일단 입학을 해도 졸업하는 비율은 30%이하이기 때문에 대학졸업장을 가진 이들의 희소가치는 높을 수밖에 없다.
지독한 입시경쟁에 시달리고도 학력인플레에 고학력실업자가 늘어가는 남코리아와 대비되는 지점이다.
박소현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