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정부가 거주지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대학을 다니는 학생들에게 연 240만원 수준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주거장학금>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국가장학금과 근로장학금의 수혜대상 역시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5일 윤석열대통령은 경기 광명시 아이벡스스튜디오에서 <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민생토론회를 주재했는데, 이 자리에서 청년지원방안을 7개분야로 나눠 발표했다.

가장 대표적인 정책은 장학금대상 확대다. 국가장학금과 근로장학금 대상을 각각 100만명에서 150만명, 12만명에서 20만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 국가장학금지원대상을 현행소득하위 50%에서 75%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중산층가구까지 장학금수혜대상을 넓혀 현재 100만명에서 150만명까지 국가장학금을 받을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대학생의 월세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연 최대 240만원가량의 주거장학금을 신설하고, 근로장학금수혜대상을 내년에 6만명가량 늘리기로 했다. 

교육부는 연내 수도권지역에 월 30만원대 임차료로 거주할수 있는 연합기숙사 4개를 착공하고, 기숙사 공급도 계속 늘려나가기로 했다.

한편 이같은 장학금수혜 확대를 통해 내년부터 추가소요되는 예산은 적어도 1조원안팎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날 토론회에서는 재원규모와 조달방안은 논의하지 않았다.

현재 국가장학금을 받는 대학생은 전체 203만명의 약 절반인 100만명 정도로 연 4조원 남짓 예산이 들어가는데, 대상을 확대하면 수천억원이상 더 들수 있다. 

앞서 국민의힘핵심관계자는 <아직 구체화된 사항은 없다>고 말한 바 있고, 교육부도 재원대책에는 말을 아끼고 있다. 

정부는 여당과 협의를 거쳐 이르면 다음달 구체적인 지원책을 발표할 계획으로 알려졌는데 재원책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면 총선용대책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전망이다.

1232070_667262_3654.jpg
번호 제목 날짜
2023 조선대, 학생반발에도 15년만에 등록금 인상 file 2024.03.07
2022 전국 33개 의대교수협의회 의대증원취소소송 제기 file 2024.03.06
2021 <기형적인 무전공 조장> 경북대구조조정안에 교수들 반발 file 2024.03.05
2020 노동법사각지대에 놓인 KAIST연구환경 ... 기초과학연구 유지될수 있을까 file 2024.03.05
» 대책없는 장학금수혜 확대 약속 ... <총선용대책>비판 직면 file 2024.03.05
2018 경북도 <천원의 아침밥>사업 추진 file 2024.03.05
2017 취업준비시기 점점 빨라진다 ... 대학활동기준은 <취업>에 file 2024.03.05
2016 입시경쟁 부추기는 졸업생 임금격차 ... 상위권 최대 1.5배 file 2024.03.04
2015 고려대의대생 휴학 및 수업·행사 거부 〈대책 없는 정부의 의대증원계획〉 file 2024.03.03
2014 강원관광대 폐교, 지역상권 침체 file 2024.03.02
2013 〈무전공〉 확대 .. 〈대학을 시장이 원하는대로 구조조정〉 file 2024.02.03
2012 대학등록금인상한도 역대 최고 … 대학은 〈눈치게임〉 file 2024.01.06
2011 최상위권 의대 선호 현상 … 서울대 수시합격 10명 중 1명 〈미등록〉 file 2023.12.29
2010 전북 부안군, 전국 최초로 대학생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23.12.29
2009 내년 R&D예산 결국 4조6000억 삭감 … 과학기술계 우려·비판 계속 file 2023.12.29
2008 내년 1학기 학자금대출금리 1.7% 동결 ... 국가장학금지원 확대 file 2023.12.27
2007 대학 잇따른 폐교, 주변 상권 죽어나는 현실 file 2023.12.25
2006 성추행신고 7개월 미룬 서울대, 가해자는 해외로스쿨 입학예정 file 2023.12.25
2005 총신대, 동성애지지 명목삼아 졸업예정자 <무기정학> 처분 논란 file 2023.12.23
2004 서울대, 정부 R&D예산삭감 교원수입으로 겨우 채운다 file 2023.12.20
2003 이공계대학생 849명, R&D예산삭감반대성명 국회 제출 file 2023.12.19
2002 부산대 <서울의 봄 대자보> 고의적 훼손 file 2023.12.16
2001 4시간만에 철거된 부경대 <서울의 봄 대자보> ... 말할 권리는 어디에? file 2023.12.16
2000 방학 앞두고 울상인 대학가 상인들 ... <겨울방학 어떻게 버티나> file 2023.12.16
1999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 부산 대학가에 대자보 등장 file 2023.12.14
1998 경북대 총학생회 <학생의 외침을 외면하지 말아야> file 2023.12.14
1997 서울대 음대 입시비리의혹 .. 입학본부 압수수색 file 2023.12.14
1996 <총학무용론>까지 언급되는 대학현실 file 2023.12.12
1995 을지대병원, 노조간판 달았다고 노조에 2000만원 청구 file 2023.12.12
1994 물가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대학생 자취방 file 2023.12.10
1993 부당채용의혹 붉어진 광주지역 대학들 file 2023.12.09
1992 과잠으로 뒤덮인 본관 ... 경북대·금오공대 통합 추진에 <결사반대> file 2023.12.07
1991 의견수렴 없는 을지대 간호학과 의정부캠퍼스 통합 … 학생들 반발 file 2023.12.06
1990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망언한 경희대교수에 경징계 논란 file 2023.12.05
1989 한양대 총학선거, 무산위기에 법정공방까지 file 2023.12.03
1988 인권위 <출산으로 인한 대학원신입생 휴학불허는 차별> file 2023.12.03
1987 대학원생 인건비 뺏은 경북대교수 집행유예 선고 file 2023.12.01
1986 <천원의 아침밥> 내년사업 불투명 file 2023.11.30
1985 대전지역 사립대, 총학생회장 선거규칙 두고 대립 file 2023.11.30
1984 1년에 무려 8만장 스캔하는 서울대대학원생 ... <학업연구권침해 심각> file 2023.11.30
1983 대량폐기되는 대학장서 … 보존방법 강구해야 할 때 file 2023.11.28
1982 대학생 30% <작년보다 취업 더 어려워져> 2023.11.26
1981 대원대간호학과 수시2차전면중단 ... 200명 원서취소통보사태 file 2023.11.26
1980 과기정통부, 4대과기원학생회와 간담회 ... <소통강화해야> file 2023.11.23
1979 보건복지부, 내년 간호대입학정원 확대 발표 file 2023.11.21
1978 <학점인플레>속 서울대총학생회 <학점삭제>공약 논란 file 2023.11.20
1977 서울대마저 투표율미달 ... 총학생회 부재위기 심화 file 2023.11.20
1976 신입생이 8명? ... 수도권에서도 보이는 <신입생 실종사건> file 2023.11.16
1975 R&D예산삭감에 국회찾은 대학생들 .. <대학사회전반에 큰 타격줄 것> file 2023.11.15
1974 비대면·디지털로 학생들 발길 뚝 끊긴 대학가인쇄소 file 202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