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대학들이 교수채용비리논란에 휩싸였다. 광주교대가 2학기 교원채용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조사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경찰이 지난해 무혐의로 판단했던 조선대의 교수 부당채용의혹을 재조사하고 있다.

광주교대는 올해 2학기 교수채용과정에서 미술교육과(서양화 전공)합격자의 자격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지난달 22일 연구윤리위원회를 열어 본조사위원회를 꾸리기로 결정했다. 연구윤리위는 7월26일 발표한 서양화전공교수 합격자의 전시실적 중복, 자기표절의혹이 있지만 심사위원들이 묵인했다는 제보를 접수한 뒤 예비조사에서 제보에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합격자 A씨는 5월24일 교수초빙공고가 나오기 직전 개인전을 몰아서 개최하며 심사기준을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 탈락자 B씨는 <4개월만에 신작으로 개인전 5회를 개최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 A씨와 친분이 있는 심사위원들이 묵인했고 주관평가 점수를 높이 줬다>고 주장했다.

심사위원 구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육공무원 임용령>과 <광주교대 전임교원임용규정>을 보면 심사위원은 지원자의 지도교수이거나 공동연구, 친족 등의 관계가 있을 때 회피신청을 해야 한다. 하지만 외부 인원 2명 중 1명은 A씨가 과거 시간강사로 일했던 대학의 교수였고 올해8월 A씨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수강사로 참여하는 등 친분이 확인됐다. 나머지 1명은 A씨의 대학동문으로 알려졌다. 대학교무처는 이 사안에 대해 <윤리위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지난해 5월 무혐의로 판단한 조선대학교 무용과교수 부당채용의혹에대해 다시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시민단체와 탈락자 C씨는 2021년12월 학과장 등이 특정인을 염두에 두고 2단계 전형시작 20분전에 실기강의(공연) 시간을 조정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C씨는 조선대를 상대로 전임교원 임용무효확인소송을 제기했으나 지난해 12월 증거부족을 이유로 1심에서 패소했다. 하지만 올해 9월 2심재판부는 <2단계 심사가 불공정하게 이뤄졌다>며 C씨의 손을 들어줬다.

photo_2023-12-09 00.11.02.jpeg
번호 제목 날짜
2004 총신대, 동성애지지 명목삼아 졸업예정자 <무기정학> 처분 논란 file 2023.12.23
2003 서울대, 정부 R&D예산삭감 교원수입으로 겨우 채운다 file 2023.12.20
2002 이공계대학생 849명, R&D예산삭감반대성명 국회 제출 file 2023.12.19
2001 부산대 <서울의 봄 대자보> 고의적 훼손 file 2023.12.16
2000 4시간만에 철거된 부경대 <서울의 봄 대자보> ... 말할 권리는 어디에? file 2023.12.16
1999 방학 앞두고 울상인 대학가 상인들 ... <겨울방학 어떻게 버티나> file 2023.12.16
1998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 부산 대학가에 대자보 등장 file 2023.12.14
1997 경북대 총학생회 <학생의 외침을 외면하지 말아야> file 2023.12.14
1996 서울대 음대 입시비리의혹 .. 입학본부 압수수색 file 2023.12.14
1995 <총학무용론>까지 언급되는 대학현실 file 2023.12.12
1994 을지대병원, 노조간판 달았다고 노조에 2000만원 청구 file 2023.12.12
1993 물가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대학생 자취방 file 2023.12.10
» 부당채용의혹 붉어진 광주지역 대학들 file 2023.12.09
1991 과잠으로 뒤덮인 본관 ... 경북대·금오공대 통합 추진에 <결사반대> file 2023.12.07
1990 의견수렴 없는 을지대 간호학과 의정부캠퍼스 통합 … 학생들 반발 file 2023.12.06
1989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망언한 경희대교수에 경징계 논란 file 2023.12.05
1988 한양대 총학선거, 무산위기에 법정공방까지 file 2023.12.03
1987 인권위 <출산으로 인한 대학원신입생 휴학불허는 차별> file 2023.12.03
1986 대학원생 인건비 뺏은 경북대교수 집행유예 선고 file 2023.12.01
1985 <천원의 아침밥> 내년사업 불투명 file 2023.11.30
1984 대전지역 사립대, 총학생회장 선거규칙 두고 대립 file 2023.11.30
1983 1년에 무려 8만장 스캔하는 서울대대학원생 ... <학업연구권침해 심각> file 2023.11.30
1982 대량폐기되는 대학장서 … 보존방법 강구해야 할 때 file 2023.11.28
1981 대학생 30% <작년보다 취업 더 어려워져> 2023.11.26
1980 대원대간호학과 수시2차전면중단 ... 200명 원서취소통보사태 file 2023.11.26
1979 과기정통부, 4대과기원학생회와 간담회 ... <소통강화해야> file 2023.11.23
1978 보건복지부, 내년 간호대입학정원 확대 발표 file 2023.11.21
1977 <학점인플레>속 서울대총학생회 <학점삭제>공약 논란 file 2023.11.20
1976 서울대마저 투표율미달 ... 총학생회 부재위기 심화 file 2023.11.20
1975 신입생이 8명? ... 수도권에서도 보이는 <신입생 실종사건> file 2023.11.16
1974 R&D예산삭감에 국회찾은 대학생들 .. <대학사회전반에 큰 타격줄 것> file 2023.11.15
1973 비대면·디지털로 학생들 발길 뚝 끊긴 대학가인쇄소 file 2023.11.14
1972 <사회생활 빚으로 시작> … 학자금대출 부담에 신음하는 청년들 file 2023.11.13
1971 계속되는 대학가 빈대출몰에 대학생들 근심 file 2023.11.12
1970 점점 비어지는 상가 ... 청주주요상권·대학가상가 공실문제 증가 file 2023.11.12
1969 무늬만 글로벌대학? … 외국인재학생 고작 7%대 file 2023.11.10
1968 실적 위해 장학금 줬다 뺏은 대학 … 채용비리까지 만연 file 2023.11.07
1967 치솟는 물가에 <백원아침> 찾는 대학생들 file 2023.11.06
1966 국회 찾은 서울대생들 <정부 R&D주장 설득력 부족> file 2023.11.05
1965 <대학은 누구의 것인가?> 채효정저자 초청강연회 개최 file 2023.10.31
1964 대학 나왔지만 <알바 전전> ... 역대 최대치 file 2023.10.31
1963 대학가월세 100만원 근접 ... 어디서 살아야 하나? file 2023.10.30
1962 서울대대학원마저 무너져 ... 신입생입학 절반이상 미달 file 2023.10.28
1961 포화율 200%달하는 대학도서관 ... 도서관리부터 체계적인 정비 필요 file 2023.10.26
1960 자국 청년예산은 삭감, 외국인유학생장학금 지원은 확대 file 2023.10.26
1959 국가장학금 신청 대학생은 증가하지만 장학금수령은 겨우 절반 file 2023.10.26
1958 <지방대 절반이 사라질 위기> ... 입학경쟁률 수도권사립대 절반수준 file 2023.10.21
1957 OECD자살률1위, 사라져가는 한국청년들 ... 국가적대응방안은? file 2023.10.18
1956 <학생부담 아닌 정부지원 늘려야> 전국교대생 대학재정지원 확대촉구 file 2023.10.18
1955 대학생들, R&D예산삭감에 특위조직으로 대응 시작 file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