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 내 한 4년제 사립대학교 재학생들이 이용하는 익명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서는 벌레사진을 올리며 빈대인지 묻는 게시글이 연일 올라오고 있다. 전국각지에서 빈대가 출몰하면서 일부 재학생이 대학내부에서 발견한 벌레가 빈대는 아닐까 하는 걱정에 잇따라 문의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단체생활을 하는 기숙사입소생들 가운데서는 불안감이 더욱 확산하는 분위기다.

실제 지난달 19일 대구의 한 사립대학교 기숙사에서도 학생이 빈대에 물렸다는 신고가 접수돼 대학측이 긴급소독에 나선바 있다. 재학생 A씨는 <요즘엔 기숙사위생에 조금만 문제가 있는 듯하면 곧바로 <방에 빈대 있는것 아닌가>하는 생각부터 든다>며 <워낙 전국적으로 떠들썩한 사안이다 보니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다른 학우들과도 종종 비슷한 걱정을 한다>고 말했다.

일상생활에서 종종 발견되는 모기, 바퀴벌레 등과 달리 빈대는 한동안 국내에서 낯선 존재였던 만큼, 한눈에 그 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다는 점도 걱정을 키우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 대학에서는 기숙사 등을 중심으로 해충소독작업을 벌이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기대관계자는 <최근 자교 체육선수들이 사용하는 숙소를 대상으로 주말마다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며 <재학생이 이용하는 생활관 등에도 순차적으로 빈대, 진드기 여부를 확인하는 일제 점검을 하고 있으며, 점검결과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로 해충방지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한 대학관계자도 <아직 구체적인 방침을 세운 단계는 아니지만, 기숙사나 강의실 등 단체생활이 이뤄지는 곳을 중심으로 해충방제 치를 강화할지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photo_2023-11-12 21.31.24.jpeg
번호 제목 날짜
2004 총신대, 동성애지지 명목삼아 졸업예정자 <무기정학> 처분 논란 file 2023.12.23
2003 서울대, 정부 R&D예산삭감 교원수입으로 겨우 채운다 file 2023.12.20
2002 이공계대학생 849명, R&D예산삭감반대성명 국회 제출 file 2023.12.19
2001 부산대 <서울의 봄 대자보> 고의적 훼손 file 2023.12.16
2000 4시간만에 철거된 부경대 <서울의 봄 대자보> ... 말할 권리는 어디에? file 2023.12.16
1999 방학 앞두고 울상인 대학가 상인들 ... <겨울방학 어떻게 버티나> file 2023.12.16
1998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 부산 대학가에 대자보 등장 file 2023.12.14
1997 경북대 총학생회 <학생의 외침을 외면하지 말아야> file 2023.12.14
1996 서울대 음대 입시비리의혹 .. 입학본부 압수수색 file 2023.12.14
1995 <총학무용론>까지 언급되는 대학현실 file 2023.12.12
1994 을지대병원, 노조간판 달았다고 노조에 2000만원 청구 file 2023.12.12
1993 물가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대학생 자취방 file 2023.12.10
1992 부당채용의혹 붉어진 광주지역 대학들 file 2023.12.09
1991 과잠으로 뒤덮인 본관 ... 경북대·금오공대 통합 추진에 <결사반대> file 2023.12.07
1990 의견수렴 없는 을지대 간호학과 의정부캠퍼스 통합 … 학생들 반발 file 2023.12.06
1989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망언한 경희대교수에 경징계 논란 file 2023.12.05
1988 한양대 총학선거, 무산위기에 법정공방까지 file 2023.12.03
1987 인권위 <출산으로 인한 대학원신입생 휴학불허는 차별> file 2023.12.03
1986 대학원생 인건비 뺏은 경북대교수 집행유예 선고 file 2023.12.01
1985 <천원의 아침밥> 내년사업 불투명 file 2023.11.30
1984 대전지역 사립대, 총학생회장 선거규칙 두고 대립 file 2023.11.30
1983 1년에 무려 8만장 스캔하는 서울대대학원생 ... <학업연구권침해 심각> file 2023.11.30
1982 대량폐기되는 대학장서 … 보존방법 강구해야 할 때 file 2023.11.28
1981 대학생 30% <작년보다 취업 더 어려워져> 2023.11.26
1980 대원대간호학과 수시2차전면중단 ... 200명 원서취소통보사태 file 2023.11.26
1979 과기정통부, 4대과기원학생회와 간담회 ... <소통강화해야> file 2023.11.23
1978 보건복지부, 내년 간호대입학정원 확대 발표 file 2023.11.21
1977 <학점인플레>속 서울대총학생회 <학점삭제>공약 논란 file 2023.11.20
1976 서울대마저 투표율미달 ... 총학생회 부재위기 심화 file 2023.11.20
1975 신입생이 8명? ... 수도권에서도 보이는 <신입생 실종사건> file 2023.11.16
1974 R&D예산삭감에 국회찾은 대학생들 .. <대학사회전반에 큰 타격줄 것> file 2023.11.15
1973 비대면·디지털로 학생들 발길 뚝 끊긴 대학가인쇄소 file 2023.11.14
1972 <사회생활 빚으로 시작> … 학자금대출 부담에 신음하는 청년들 file 2023.11.13
» 계속되는 대학가 빈대출몰에 대학생들 근심 file 2023.11.12
1970 점점 비어지는 상가 ... 청주주요상권·대학가상가 공실문제 증가 file 2023.11.12
1969 무늬만 글로벌대학? … 외국인재학생 고작 7%대 file 2023.11.10
1968 실적 위해 장학금 줬다 뺏은 대학 … 채용비리까지 만연 file 2023.11.07
1967 치솟는 물가에 <백원아침> 찾는 대학생들 file 2023.11.06
1966 국회 찾은 서울대생들 <정부 R&D주장 설득력 부족> file 2023.11.05
1965 <대학은 누구의 것인가?> 채효정저자 초청강연회 개최 file 2023.10.31
1964 대학 나왔지만 <알바 전전> ... 역대 최대치 file 2023.10.31
1963 대학가월세 100만원 근접 ... 어디서 살아야 하나? file 2023.10.30
1962 서울대대학원마저 무너져 ... 신입생입학 절반이상 미달 file 2023.10.28
1961 포화율 200%달하는 대학도서관 ... 도서관리부터 체계적인 정비 필요 file 2023.10.26
1960 자국 청년예산은 삭감, 외국인유학생장학금 지원은 확대 file 2023.10.26
1959 국가장학금 신청 대학생은 증가하지만 장학금수령은 겨우 절반 file 2023.10.26
1958 <지방대 절반이 사라질 위기> ... 입학경쟁률 수도권사립대 절반수준 file 2023.10.21
1957 OECD자살률1위, 사라져가는 한국청년들 ... 국가적대응방안은? file 2023.10.18
1956 <학생부담 아닌 정부지원 늘려야> 전국교대생 대학재정지원 확대촉구 file 2023.10.18
1955 대학생들, R&D예산삭감에 특위조직으로 대응 시작 file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