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이 유명해진데는 표면의 하트무늬가 큰 역할을 했다. 2015년 우주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명왕성사진에 사랑의 표식인 하트모양지형이 선명하게 포착됐기 때문이다. 최근 이 하트지형이 형성된 원인이 비교적 정확히 밝혀졌다.

해리밸런타인 스위스베른대 물리학연구소 우주및행성과학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3차원시뮬레이션을 통해 겉은 얼음이고 내부는 암석인 직경730km 가량의 충돌체가 반고체상태의 명왕성에 시속6km의 느린 속도로 비스듬히(15~30°) 충돌했을때 지금과 같은 지형이 생성될수 있음을 밝혔다.

하트지형의 서쪽부분인 스푸트니크평원은 가로가 약 1200km, 세로가 약 2000km이다. 이 지역은 질소얼음으로 채워져있고 평원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높이가 3~4km 낮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과거 명왕성에 충돌이 있었음을 짐작하고 다양한 충격시뮬레이션모델을 이용해 하트지형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시도했다. 그러나 그 형태를 완벽히 재현하긴 어려웠다.

이번 연구팀은 보다 사실적인 충격각도와 충돌체구조, 복잡한 재료 및 동적상호작용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하트지형의 형성과정을 규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충돌체는 명왕성의 얼음 맨틀에 박히며 타원형의 크레이터를 일시적으로 생성한다.

이때 충돌체바깥얼음층에서 떨어져나온 얼음들이 크레이터에 쌓인다. 충돌체의 핵은 명왕성의 핵쪽으로 합쳐지며 지각아래 밀도가 높은 물질이 집중된 부분인 <마스콘>을 형성한다.

연구팀은 자전하는 명왕성에서 스푸트니크평원이 적도부근에 위치할수 있던 이유가 바로 마스콘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마스콘이 형성되지 않았더라면 충돌후 지형이 함몰돼 질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푸트니크평원은 회전과정에서 극지방으로 이동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명왕성정도의 질량을 가진 천체가 탈출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날아온 고체와 충돌하면 스푸트니크평원과 유사한 이질적인 내부구조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에 알아낸 충돌메커니즘은 명왕성과 스푸트니크평원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행성계외곽 차가운 얼음세계의 특성을 알아내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photo_2024-06-18 04.58.43.jpeg

번호 제목 날짜
» 명왕성에 하트무늬가 생긴 이유 file 2024.06.18
593 지구와 온도·크기 비슷한 행성 발견 ... 생명체존재 가능성 file 2024.05.26
592 국제공동연구진, 사상최대 <3차원우주지도>공개 file 2024.04.21
591 <4분동안 태양 사라진다> ... 북미대륙 가로지르는 개기일식 file 2024.04.03
590 기후위기로 지구자전속도 느려져 ... <지구시간>흔들린다 file 2024.03.29
589 러, 소유스 우주선 발사 성공 file 2024.03.25
588 카이스트, 극저온일수록 강력한 고성능2차원반도체소자 개발 file 2024.03.22
587 <정수론>난제해결에 큰 성과낸 AI ... BSD추측해결에도 가능성 2024.03.20
586 통신 끊겼던 보이저 1호, 240억㎞ 거리서 재통신 성공 file 2024.03.18
585 영화 <듄>속 물 재활용 ... 우주에서는 실제상황 file 2024.03.09
584 3100만km 심우주서 <고양이영상> 실시간중계 성공 file 2023.12.21
583 6개행성 가진 <완벽한 태양계>발견 file 2023.12.17
582 초전도학회 검증위 <LK-99 초전도체 근거 전혀 없어> file 2023.12.14
581 찌른뒤 형태변화 ... 혈관손상 막는 주삿바늘 개발 file 2023.12.09
580 1000℃ 극한환경에도 버티는 내화전도성 열복사제어소재 개발 file 2023.12.07
579 지구닮은 행성, 22광년거리서 발견 file 2023.11.30
578 스페이스X <스타십> 두번째 발사도 실패 ... 평가는 <성공적인 날> file 2023.11.20
577 제임스웹망원경, 외계행성에서 물·모래구름 포착 file 2023.11.16
576 <내성빈대> 잡는 살충제성분 발견 ... 빈대퇴치효과 기대감 증폭 file 2023.11.10
575 <상온초전도물질개발> 미연구팀 논문 철회 file 2023.11.09
574 132억년 된 최고령 블랙홀 발견 ... 빅뱅초기에 생성돼 file 2023.11.09
573 2032년 달 착륙선 보낸다 … 달탐사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file 2023.11.01
572 중국 선저우17호 발사성공 <우주정거장 임무 교대할것> file 2023.10.29
571 달나이는 최소 44억6000만살 ... 기존 추정치보다 4000만년 앞당겨 file 2023.10.26
570 소행성<베누> 물과 탄소 확인 ... 생명체 탄생의 실마리될 것 file 2023.10.18
569 인공치아 뛰어넘는 기술 나타날까? 치아재생신약개발 2030년 상용화 목표 file 2023.10.11
568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 수십배 ... 해저메탄가스분출구 발견 file 2023.10.11
567 100경분의 1초 전자움직임 ... <아토초>분야 첫 노벨 물리학상 수여 file 2023.10.05
566 인도, 달 남극표면에서 황 존재 확인 file 2023.08.31
565 산업폐가스를 화학원료로 만드는 효소 개발 file 2022.11.21
564 바이오연료 2배 더 생산할수 있는 미세조류 배양 성공 file 2022.11.06
563 피뽑지 않고 혈당측정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1.02
562 국내연구진, 로봇용 전자피부 개발 file 2022.10.30
561 종이보다 얇은 반도체 빛으로 가공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0.23
560 회전시키지 않고도 360도 볼수 있는 <라이다센서> 개발 file 2022.10.23
559 국내연구진, 새로운 부유쓰레기차단막 개발 file 2022.10.16
558 실시간으로 촉각전달하는 기술개발 file 2022.10.16
557 미항공우주국, 소행성충돌실험 성공 file 2022.10.13
556 토성 얼음위성서 6대원소 모두 발견 file 2022.10.11
555 테슬라, 휴머노이드로봇 공개 file 2022.10.09
554 국내서 처음 발견된 <화성 뿔공룡> 화석, 천연기념물 지정 file 2022.10.07
553 국내연구진, 한번에 630km 주행하는 이차전지 개발 file 2022.10.06
552 항암효과 높은 천연물질 합성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0.02
551 반도체회로, 간단하게 그려내는 기술개발 file 2022.09.28
550 한국과학기술원, 전시물내부투시 증강현실장치 개발 file 2022.09.16
549 국내연구진, 핵융합장치의 새로운 운전방식 발견 file 2022.09.16
548 미대학연구진, 폐플라스틱 3D프린팅재료로 전환하는 기술 발표 file 2022.09.13
547 제임스웹, 외계행성사진 공개 file 2022.09.06
546 나노크기 고성능반도체소자 합성 성공 file 2022.09.06
545 인공지능 활용한 유전자해석기술 개발 file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