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과대학연구진이 빈대퇴치에 효과적인 살충제 성분을 찾아냈다.

김주현서울대의과대학열대의학교실교수연구진은 기존에 빈대살충제로 쓰던 계통이 아닌 성분중 이미다클로프리드, 피프로닐제제가 빈대퇴치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미다클로프리드와 피프로닐제제는 환경부도 사용허가한 살충제성분으로, 각각 해충방제농약과 동물외부구충제 등에 쓰이는 성분이다. 현재 빈대살충제로 주로 쓰이는 피레스로이드계통성분은 국내빈대가 내성을 가지고 있어서 큰 효과가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김주현교수는 <이번 연구는 빈대퇴치에 가장 효과적인 비피레스로이드계통물질을 확인한 것>이라며 <용량과 용법이 정해지면 바로 적용할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와 질병관리청은 대체살충제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박경화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과과장은 <대체살충제도입사례 등을 참고해 대체살충제를 빈대방역에 사용할수있도록 안전한 용법과 용량을 빠르게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우려되는 지점은 남아있다. 이미다클로프리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제제인데 현재 꿀벌실종의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으며 사람의 태반을 통과해 탯줄혈액에서도 검출된다는 보고가 있다. 김주현교수는 <어떤 살충제도 영원히 쓸수없고 완벽한 답이 될수 없기 때문에 한가지 계열에 의존하지 말고 끊임없이 모니터링하면서 방제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photo_2023-11-10 06.10.43.jpeg
번호 제목 날짜
579 지구닮은 행성, 22광년거리서 발견 file 2023.11.30
578 스페이스X <스타십> 두번째 발사도 실패 ... 평가는 <성공적인 날> file 2023.11.20
577 제임스웹망원경, 외계행성에서 물·모래구름 포착 file 2023.11.16
» <내성빈대> 잡는 살충제성분 발견 ... 빈대퇴치효과 기대감 증폭 file 2023.11.10
575 <상온초전도물질개발> 미연구팀 논문 철회 file 2023.11.09
574 132억년 된 최고령 블랙홀 발견 ... 빅뱅초기에 생성돼 file 2023.11.09
573 2032년 달 착륙선 보낸다 … 달탐사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file 2023.11.01
572 중국 선저우17호 발사성공 <우주정거장 임무 교대할것> file 2023.10.29
571 달나이는 최소 44억6000만살 ... 기존 추정치보다 4000만년 앞당겨 file 2023.10.26
570 소행성<베누> 물과 탄소 확인 ... 생명체 탄생의 실마리될 것 file 2023.10.18
569 인공치아 뛰어넘는 기술 나타날까? 치아재생신약개발 2030년 상용화 목표 file 2023.10.11
568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 수십배 ... 해저메탄가스분출구 발견 file 2023.10.11
567 100경분의 1초 전자움직임 ... <아토초>분야 첫 노벨 물리학상 수여 file 2023.10.05
566 인도, 달 남극표면에서 황 존재 확인 file 2023.08.31
565 산업폐가스를 화학원료로 만드는 효소 개발 file 2022.11.21
564 바이오연료 2배 더 생산할수 있는 미세조류 배양 성공 file 2022.11.06
563 피뽑지 않고 혈당측정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1.02
562 국내연구진, 로봇용 전자피부 개발 file 2022.10.30
561 종이보다 얇은 반도체 빛으로 가공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0.23
560 회전시키지 않고도 360도 볼수 있는 <라이다센서> 개발 file 2022.10.23
559 국내연구진, 새로운 부유쓰레기차단막 개발 file 2022.10.16
558 실시간으로 촉각전달하는 기술개발 file 2022.10.16
557 미항공우주국, 소행성충돌실험 성공 file 2022.10.13
556 토성 얼음위성서 6대원소 모두 발견 file 2022.10.11
555 테슬라, 휴머노이드로봇 공개 file 2022.10.09
554 국내서 처음 발견된 <화성 뿔공룡> 화석, 천연기념물 지정 file 2022.10.07
553 국내연구진, 한번에 630km 주행하는 이차전지 개발 file 2022.10.06
552 항암효과 높은 천연물질 합성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0.02
551 반도체회로, 간단하게 그려내는 기술개발 file 2022.09.28
550 한국과학기술원, 전시물내부투시 증강현실장치 개발 file 2022.09.16
549 국내연구진, 핵융합장치의 새로운 운전방식 발견 file 2022.09.16
548 미대학연구진, 폐플라스틱 3D프린팅재료로 전환하는 기술 발표 file 2022.09.13
547 제임스웹, 외계행성사진 공개 file 2022.09.06
546 나노크기 고성능반도체소자 합성 성공 file 2022.09.06
545 인공지능 활용한 유전자해석기술 개발 file 2022.09.03
544 입안에서 녹아 흡수되는 인슐린알약 개발 file 2022.09.01
543 고성능 2차원 유기반도체 소재합성 성공 file 2022.09.01
542 국내 첫 달탐사선 <다누리> 발사성공 file 2022.08.08
541 정자·난자없이 인공배아 만드는데 성공 file 2022.08.05
540 국내연구진, 마이크로파 이용한 차세대 에너지변환기술 개발 file 2022.08.05
539 스마트폰카메라로 위조적발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08.05
538 국내연구진, 초고해상도 AR·VR 디스플레이기술 개발 file 2022.07.31
537 한국과학기술원, 대규모 사물인터넷 동시통신기술 개발 file 2022.07.30
536 300도에서도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 세계최초 개발 file 2022.07.17
535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190종 추가개방 file 2022.07.14
534 국내연구진, 식충식물 섬모 모방해 <기름뜰채>기술 개발 file 2022.07.14
533 국내연구진, 위치인식 단절되지 않는 시스템 개발 file 2022.07.12
532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미세플라스틱제거기술 개발 file 2022.07.08
531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적혈구품질검사 인공지능시스템 개발 file 2022.07.07
530 서울대연구진, 노화 대사성질환 치료법개발 단서 발견 file 20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