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일론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대형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2번째 지구궤도시험비행을 실패했다.

스페이스X는 이날 오전 7시3분 미국텍사스주남부 보카치카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수직으로 솟아오른 스타십은 발사 3분뒤 전체 2단로켓의 아랫부분인 <슈퍼헤비>로켓이 분리되고 55마일(90km)상공으로 치솟으며 우주궤도진입을 시도했다. 그러나 <슈퍼헤비>로켓은 성공적으로 분리된 직후 멕시코만 상공에서 폭발했다. 또 우주선부스터는 분리이후 우주에 도달한후 궤도진입을 시도하다 통신이 두절됐다.

스페이스X의 수석통합엔지니어인 존인스프러커는 회사방송에서 <두번째단계의 데이터를 잃어버렸다>며 부스터와 교신이 단절된것 같다고 말했다. 스페이스X는 <계획했던 것보다 슈퍼헤비부스터와 우주선이 빨리 분리됐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믿을수 없을 정도로 성공적인 날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번 시험발사는 지난 4월20일 첫 발사실패 이후 2번째 시도다. 지난 4월 첫 시도보다는 2배가량 비행했다. 스페이스X는 이번 시험발사실패의 원인분석에 들어갈 예정이다.

photo_2023-11-20 00.22.38.jpeg
번호 제목 날짜
579 지구닮은 행성, 22광년거리서 발견 file 2023.11.30
» 스페이스X <스타십> 두번째 발사도 실패 ... 평가는 <성공적인 날> file 2023.11.20
577 제임스웹망원경, 외계행성에서 물·모래구름 포착 file 2023.11.16
576 <내성빈대> 잡는 살충제성분 발견 ... 빈대퇴치효과 기대감 증폭 file 2023.11.10
575 <상온초전도물질개발> 미연구팀 논문 철회 file 2023.11.09
574 132억년 된 최고령 블랙홀 발견 ... 빅뱅초기에 생성돼 file 2023.11.09
573 2032년 달 착륙선 보낸다 … 달탐사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file 2023.11.01
572 중국 선저우17호 발사성공 <우주정거장 임무 교대할것> file 2023.10.29
571 달나이는 최소 44억6000만살 ... 기존 추정치보다 4000만년 앞당겨 file 2023.10.26
570 소행성<베누> 물과 탄소 확인 ... 생명체 탄생의 실마리될 것 file 2023.10.18
569 인공치아 뛰어넘는 기술 나타날까? 치아재생신약개발 2030년 상용화 목표 file 2023.10.11
568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 수십배 ... 해저메탄가스분출구 발견 file 2023.10.11
567 100경분의 1초 전자움직임 ... <아토초>분야 첫 노벨 물리학상 수여 file 2023.10.05
566 인도, 달 남극표면에서 황 존재 확인 file 2023.08.31
565 산업폐가스를 화학원료로 만드는 효소 개발 file 2022.11.21
564 바이오연료 2배 더 생산할수 있는 미세조류 배양 성공 file 2022.11.06
563 피뽑지 않고 혈당측정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1.02
562 국내연구진, 로봇용 전자피부 개발 file 2022.10.30
561 종이보다 얇은 반도체 빛으로 가공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0.23
560 회전시키지 않고도 360도 볼수 있는 <라이다센서> 개발 file 2022.10.23
559 국내연구진, 새로운 부유쓰레기차단막 개발 file 2022.10.16
558 실시간으로 촉각전달하는 기술개발 file 2022.10.16
557 미항공우주국, 소행성충돌실험 성공 file 2022.10.13
556 토성 얼음위성서 6대원소 모두 발견 file 2022.10.11
555 테슬라, 휴머노이드로봇 공개 file 2022.10.09
554 국내서 처음 발견된 <화성 뿔공룡> 화석, 천연기념물 지정 file 2022.10.07
553 국내연구진, 한번에 630km 주행하는 이차전지 개발 file 2022.10.06
552 항암효과 높은 천연물질 합성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10.02
551 반도체회로, 간단하게 그려내는 기술개발 file 2022.09.28
550 한국과학기술원, 전시물내부투시 증강현실장치 개발 file 2022.09.16
549 국내연구진, 핵융합장치의 새로운 운전방식 발견 file 2022.09.16
548 미대학연구진, 폐플라스틱 3D프린팅재료로 전환하는 기술 발표 file 2022.09.13
547 제임스웹, 외계행성사진 공개 file 2022.09.06
546 나노크기 고성능반도체소자 합성 성공 file 2022.09.06
545 인공지능 활용한 유전자해석기술 개발 file 2022.09.03
544 입안에서 녹아 흡수되는 인슐린알약 개발 file 2022.09.01
543 고성능 2차원 유기반도체 소재합성 성공 file 2022.09.01
542 국내 첫 달탐사선 <다누리> 발사성공 file 2022.08.08
541 정자·난자없이 인공배아 만드는데 성공 file 2022.08.05
540 국내연구진, 마이크로파 이용한 차세대 에너지변환기술 개발 file 2022.08.05
539 스마트폰카메라로 위조적발하는 기술 개발 file 2022.08.05
538 국내연구진, 초고해상도 AR·VR 디스플레이기술 개발 file 2022.07.31
537 한국과학기술원, 대규모 사물인터넷 동시통신기술 개발 file 2022.07.30
536 300도에서도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 세계최초 개발 file 2022.07.17
535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190종 추가개방 file 2022.07.14
534 국내연구진, 식충식물 섬모 모방해 <기름뜰채>기술 개발 file 2022.07.14
533 국내연구진, 위치인식 단절되지 않는 시스템 개발 file 2022.07.12
532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미세플라스틱제거기술 개발 file 2022.07.08
531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적혈구품질검사 인공지능시스템 개발 file 2022.07.07
530 서울대연구진, 노화 대사성질환 치료법개발 단서 발견 file 20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