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박근혜정부 당시 유일하게 국·공립대총장을 전체구성원들이 직접 선출하는 방식을 고수했던 부산대가 내년 2월 차기총장선거 때 전체유권자 대비 학생투표권비율을 현재 3%대에서 7%대로 올렸다. 2배이상 학생투표권비율이 높아지긴 했으나 10%도 넘지 못하는 상황이다.
27일 부산대교수회는 <교수·학생·직원·조교 대표자들이 지난 5일부터 매주 화요일 회의를 열어 <부산대총장임용후보자 선정규정개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이 교수회총회에서 가결되면 내년 2월 차기총장선거에 적용된다.
개정안의 핵심은 구성원들의 투표권비율이다. 현재는 전체전임교수 대비 학생 3.9%, 직원·조교 17%인데 학생 10%, 직원·조교 20%로 변경됐다. 학생은 6.1%p, 직원·조교는 3%p가 올랐다. 하지만 학생은 전체유권자대비 투표권비율이 10%미만이다. 부산대 전임교수 1200명을 기준으로 했을 때 교수 76.9%, 직원·조교 15.4%, 학생 7.7%다. 개정전에는 교수 82.7%, 직원·조교 14.1%, 학생 3.2%이다.
개정안에 대해 김정구부산대교수회회장은 <애초 교수들은 개정전 수준을 주장했고 학생들은 전체 유권자대비학생 비율을 10%로 해달라고 했으나 한발씩 물러나 4차례 회의만에 합의안을 끌어냈다. 지성집단이 실현됐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김요섭부산대총학생회장(전국국공립대학생연합회의장)은 <등록금을 내는 주체인 우리 대학생이 현저히 낮은 비율로 대학총장을 선출하고 있다>며 <학생도 성년이고 대학의 엄연한 구성원이므로 다음 총장선거에 학생들의 목소리가 많이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공립대학총장은 대학에서 직·간접선거로 뽑아서 복수후보를 추천하면 대통령이 임명한다. 앞서 이명박·박근혜정부 당시 전국 4년제 국·공립대학 40곳(서울시장이 임명하는 서울시립대 제외) 가운데 직선총장을 선출한 곳은 부산대가 유일했다. 부산대는 간선제로 바꾸려 했으나 고현철국문학과교수가 직선제사수를 외치며 스스로 목숨을 끊자 2015년 교육부의 압력에 맞서 직선총장을 선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