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학30>사업은 정부가 비수도권대학을 대상으로 학교당 연간 200억, 5년간 총 1000억원을 지원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비수도권대학들은 글로컬대학 선정에 사활을 걸었다.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대학은 <특성화지방대학>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지원금뿐만 아니라 각종 규제에서도 보다 자유로워지기 때문이다. 이같은 대규모국책사업은 재정적 여건이 불안정한 대학들을 구제할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대학구조조정을 기형적으로 조장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현재 글로컬사업선정을 위해 통합을 추진하는 국립대학교들에서는 벌써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충북지역국립대인 충북대학교와 한국교통대학교가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대학사업에 지원했다. 이에 대해 충북대학생들은 <충북대통합반대학생연합>을 만들어 행동에 나서고 있다. 학생연합관계자는 <글로컬30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교통대와 통합을 한다는 소식을 우리 재학생들은 언론보도를 통해 알았다>, <그 이전까지 학생들에게 일언반구도 없었다>고 말했다. 대학이 구성원들의 의견을 묵살하고 재정확보를 위해서만 통합에 뛰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지역국립대인 충남대와 한밭대도 마찬가지다. 글로컬대학사업에 선정되는 것을 전제로 통합을 진행하려다 충남대학생회의 반대와 한밭대총동문회의 반대 등 구성원들의 반발, 대학간의 통폐합안 불일치로 이뤄지지 않았다. 두 대학은 선정과정에서 가장 높은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됐지만 재정지원만 바라보고 졸속추진한 결과로 이도저도 아니게 됐다. 

부산대와 부산교대마저 글로컬대학사업을 전제로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5월 통합관련찬반투표에서 부산교대학생 51.3%, 부산대 학생 56.3%가 반대했음에도 통합을 강행하고 있다. 부산교대비상대책위원회는 대학에서 임시학생총회를 열고 글로컬사업중단 등을 포함한 학생요구안을 채택하고 릴레이동맹휴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스크린샷 2023-10-10 오후 12.54.17.png
번호 제목 날짜
1954 대학생들 힘으로 철거한 이승만동상 복원시도 논란 file 2023.10.16
1953 자유롭다는 대학생온라인커뮤니티속 확산되는 혐오와 폭력 file 2023.10.16
1952 대학가에 붙은 〈팔레스타인 지지대자보〉 학내 논쟁 file 2023.10.16
1951 지난해 대학졸업유예금 10억 ... 등록금의 12.5%까지 받아 file 2023.10.12
1950 충북대통합반대학생연합 <우리단체는 통합시도자체를 반대한다> file 2023.10.11
» 대학지원사업이 낳은 대학통폐합 ... 교육안정성은 어디에 file 2023.10.10
1948 <후쿠시마오염수방류하는 이유> 서술하라는 대학교양수업 file 2023.10.10
1947 〈등록금 인상 반대!〉 대학릴레이행동 이어져 file 2023.10.10
1946 이주호의 〈무전공입학〉의지 … 기초학문붕괴 우려 커져 file 2023.10.09
1945 사라지는 대학〈과방〉 ... 학생자치공간 어디로 file 2023.10.08
1944 〈등록금인상시도 중단하라!〉 … 대학생 95%는 인상반대 2023.10.07
1943 〈경제적 이익 위해 최소한의 규정마저도 삭제〉 ... 대학구조조정 쉬워진다 file 2023.10.06
1942 R&D예산삭감 5.7조원 ... 젊은 학생연구자 2800명 쫒겨난다 file 2023.10.06
1941 육사 앞세운 〈항일역사지우기〉 ... 홍범도흉상 이어 독립전쟁영웅관도 철거 file 2023.10.05
1940 기형적인 입시구조로 지방대 이탈속출 file 2023.10.04
1939 사회구조적으로 빚어진 2030세대의 <빚> 굴레 file 2023.10.03
1938 재정난이라더니 사립대곳간엔 장학적립금 수백억 file 2023.10.03
1937 학생의 목소리는 10% ... 무늬만 총장직선제 file 2023.10.01
1936 계속 미뤄지는 국립대특수학교 설립 ... 3곳중 1곳 겨우 착공 file 2023.10.01
1935 〈학생역량 길러주는 고등교육〉이라지만 실상은 열약 file 2023.10.01
1934 부산대 학생투표권비율 여전히 10%이하 ... 학생비중 더 높여야 file 2023.09.29
1933 〈강사법〉 시행 4년, 비정규교원 늘고 처우개선은 제자리 file 2023.09.22
1932 <등록금만 바라보는 한국 대학> ... 정부지원은 허술 file 2023.09.14
1931 <불이익 주겠다> 협박 … 연구인건비 빼돌린 지방국립대교수 구속 file 2023.09.13
1930 민주적 대학운영구조 확립 위한 서울예대 교수노동조합 건설 file 2023.09.13
1929 <혜택은 여학우만 받는다?> … 대학내 복지인식 달라져 file 2023.09.12
1928 <천원의 아침밥>사업중단·축소 대학 속출 … 비용부담구조 문제 file 2023.09.10
1927 뉴라이트성향 육사교수, 홍범도흉상철거 맡아 논란 file 2023.09.07
1926 서울대총학생회에 비판 <사회문제에 대해 기계적 침묵> file 2023.09.07
1925 경희대학내대자보,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교수발언 규탄 file 2023.09.05
1924 수강신청 당일 폐강 … IT분야 교수 구인난 심각 file 2023.09.03
1923 고립되는 젊은층 <공부만 강요하는 사회 .. 좋아하는 것 찾을 자유 줘야> file 2023.09.01
1922 <장학금으론 턱없다> ... 대학생들은 여전히 알바생 file 2023.09.01
1921 학자금대출은 늘어가는데 ... 등록금 동결에도 상승한 대학별 적립금 file 2023.09.01
1920 <서현역흉기난동>대학생피해자 발인식 엄수 file 2023.08.31
1919 15년째 집에만 ... 고립생활에 내몰린 청년들 file 2023.08.31
1918 나사렛대 현직교수 17명, 학교 상대로 승소 file 2023.08.31
1917 반발하는 민심속에 강행되는 육군사관학교 홍범도흉상 철거 file 2023.08.30
1916 아무 제재없는 대학가 전동킥보드 … 안전불감증 심각 file 2023.08.30
1915 서울대 77회 학위수여식 ... 최재천교수, 공정과 양심 당부 file 2023.08.30
1914 갈수록 증가하는 교수들의 뇌물수수 혐의 file 2023.08.29
1913 <청년백수> 126만명 돌파, 하반기채용문 더 비좁을 전망 file 2023.08.29
1912 교통비 이어 월세인상까지 ... 새학기부터 대학생 시름 file 2023.08.29
1911 반복되는 수강신청 실패 ... 이제는 <강의매매>까지 file 2023.08.29
1910 〈등굣길 참변 책임지고 총장 사퇴하라!〉 동덕여대생 1000여명 추모촛불 들어 file 2023.06.15
1909 동덕여대학생들 건의묵살 ... 끝내 등굣길 참변 file 2023.06.10
1908 충북대 약대교수 <처리후 희석한 후쿠시마 오염수 마시겠다> 주장 file 2023.06.08
1907 윤석열정부 글로컬대학사업으로 대학-학생 충돌심화 file 2023.05.26
1906 대학생들, 재정난문제해결요구 기자회견 file 2023.05.07
1905 4년제대학 1인당 평균등록금 680만원 ... 17곳 올해 인상 file 202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