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대표적인 온라인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서 혐오문화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20년 대학생단체 유니브페미가 에브리타임내 혐오게시물을 모니터링한 결과 2020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3개월동안 20여개대학의 에브리타임에서 삭제되지 않은 혐오성게시물이 550개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당시 혐오게시물에 대한 진정을 접수받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해당사이트는 대다수 대학생이 이용하는 커뮤니티사이트로서 영향력이 크고,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및 이용자의 책무를 다할 의무가 있다>고 발표했으나 실질적인 조치는 <자율규제강화>에서 그쳤다. 

그로부터 5년이 다 되어가는 2023년 6월, 성공회대에서 전국대학최초로 미니퀴어퍼레이드 개최소식이 알려지자 성공회대 에브리타임에 수백개의 혐오게시물이 올라왔다. <두창걸릴까봐 그날 학식 못먹겠다>, <미니퀴퍼현장사진을 촬영해 포르노사이트에 올리겠다>는 등 성소수자에 대한 직접적인 혐오발언이 쏟아져나왔다. 

이에 2023년 10월12일 오전 성공회대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학생회와 성공회대미니퀴어퍼레이드조직위원회는 <에브리타임> 내 익명게시물 700여개를 모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방심위권고이후 에브리타임은 오히려 직간접적으로 대학혐오문화확산을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방심위의 소극적대처와 에브리타임운영진들의 선택적검열을 비판했다. 

에브리타임에 대한 문제제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에브리타임의 게시글신고시스템은 신고횟수가 누적되면 내용에 상관없이 자동삭제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방식은 다양한 의견과 입장을 보호하지 못하고, 반대의 목소리를 조직적으로 차단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는 반응이 2020년부터 제기됐었다. 

김민정한국외대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교수는 2022년 2월17일 서울여의도국회본관에서 열린 긴급토론회에서 <혐오표현을 방치할경우 오히려 표현의 자유의 총량은 축소된다>며 이때 표현의 자유는 <가해자의 자유>라고 설명했다. 그리하여 온라인상에서 혐오표현이 득세할수록 소수자들은 침묵하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가 위축된다고 말했다.

photo_2023-10-16 00.41.48.jpeg
번호 제목 날짜
1954 대학생들 힘으로 철거한 이승만동상 복원시도 논란 file 2023.10.16
» 자유롭다는 대학생온라인커뮤니티속 확산되는 혐오와 폭력 file 2023.10.16
1952 대학가에 붙은 〈팔레스타인 지지대자보〉 학내 논쟁 file 2023.10.16
1951 지난해 대학졸업유예금 10억 ... 등록금의 12.5%까지 받아 file 2023.10.12
1950 충북대통합반대학생연합 <우리단체는 통합시도자체를 반대한다> file 2023.10.11
1949 대학지원사업이 낳은 대학통폐합 ... 교육안정성은 어디에 file 2023.10.10
1948 <후쿠시마오염수방류하는 이유> 서술하라는 대학교양수업 file 2023.10.10
1947 〈등록금 인상 반대!〉 대학릴레이행동 이어져 file 2023.10.10
1946 이주호의 〈무전공입학〉의지 … 기초학문붕괴 우려 커져 file 2023.10.09
1945 사라지는 대학〈과방〉 ... 학생자치공간 어디로 file 2023.10.08
1944 〈등록금인상시도 중단하라!〉 … 대학생 95%는 인상반대 2023.10.07
1943 〈경제적 이익 위해 최소한의 규정마저도 삭제〉 ... 대학구조조정 쉬워진다 file 2023.10.06
1942 R&D예산삭감 5.7조원 ... 젊은 학생연구자 2800명 쫒겨난다 file 2023.10.06
1941 육사 앞세운 〈항일역사지우기〉 ... 홍범도흉상 이어 독립전쟁영웅관도 철거 file 2023.10.05
1940 기형적인 입시구조로 지방대 이탈속출 file 2023.10.04
1939 사회구조적으로 빚어진 2030세대의 <빚> 굴레 file 2023.10.03
1938 재정난이라더니 사립대곳간엔 장학적립금 수백억 file 2023.10.03
1937 학생의 목소리는 10% ... 무늬만 총장직선제 file 2023.10.01
1936 계속 미뤄지는 국립대특수학교 설립 ... 3곳중 1곳 겨우 착공 file 2023.10.01
1935 〈학생역량 길러주는 고등교육〉이라지만 실상은 열약 file 2023.10.01
1934 부산대 학생투표권비율 여전히 10%이하 ... 학생비중 더 높여야 file 2023.09.29
1933 〈강사법〉 시행 4년, 비정규교원 늘고 처우개선은 제자리 file 2023.09.22
1932 <등록금만 바라보는 한국 대학> ... 정부지원은 허술 file 2023.09.14
1931 <불이익 주겠다> 협박 … 연구인건비 빼돌린 지방국립대교수 구속 file 2023.09.13
1930 민주적 대학운영구조 확립 위한 서울예대 교수노동조합 건설 file 2023.09.13
1929 <혜택은 여학우만 받는다?> … 대학내 복지인식 달라져 file 2023.09.12
1928 <천원의 아침밥>사업중단·축소 대학 속출 … 비용부담구조 문제 file 2023.09.10
1927 뉴라이트성향 육사교수, 홍범도흉상철거 맡아 논란 file 2023.09.07
1926 서울대총학생회에 비판 <사회문제에 대해 기계적 침묵> file 2023.09.07
1925 경희대학내대자보,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교수발언 규탄 file 2023.09.05
1924 수강신청 당일 폐강 … IT분야 교수 구인난 심각 file 2023.09.03
1923 고립되는 젊은층 <공부만 강요하는 사회 .. 좋아하는 것 찾을 자유 줘야> file 2023.09.01
1922 <장학금으론 턱없다> ... 대학생들은 여전히 알바생 file 2023.09.01
1921 학자금대출은 늘어가는데 ... 등록금 동결에도 상승한 대학별 적립금 file 2023.09.01
1920 <서현역흉기난동>대학생피해자 발인식 엄수 file 2023.08.31
1919 15년째 집에만 ... 고립생활에 내몰린 청년들 file 2023.08.31
1918 나사렛대 현직교수 17명, 학교 상대로 승소 file 2023.08.31
1917 반발하는 민심속에 강행되는 육군사관학교 홍범도흉상 철거 file 2023.08.30
1916 아무 제재없는 대학가 전동킥보드 … 안전불감증 심각 file 2023.08.30
1915 서울대 77회 학위수여식 ... 최재천교수, 공정과 양심 당부 file 2023.08.30
1914 갈수록 증가하는 교수들의 뇌물수수 혐의 file 2023.08.29
1913 <청년백수> 126만명 돌파, 하반기채용문 더 비좁을 전망 file 2023.08.29
1912 교통비 이어 월세인상까지 ... 새학기부터 대학생 시름 file 2023.08.29
1911 반복되는 수강신청 실패 ... 이제는 <강의매매>까지 file 2023.08.29
1910 〈등굣길 참변 책임지고 총장 사퇴하라!〉 동덕여대생 1000여명 추모촛불 들어 file 2023.06.15
1909 동덕여대학생들 건의묵살 ... 끝내 등굣길 참변 file 2023.06.10
1908 충북대 약대교수 <처리후 희석한 후쿠시마 오염수 마시겠다> 주장 file 2023.06.08
1907 윤석열정부 글로컬대학사업으로 대학-학생 충돌심화 file 2023.05.26
1906 대학생들, 재정난문제해결요구 기자회견 file 2023.05.07
1905 4년제대학 1인당 평균등록금 680만원 ... 17곳 올해 인상 file 2023.05.05